분류 전체보기 39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 발렌타인 파이니스트 후기

Ballantine's Finest 이름 : Ballantine's Finest 산지 : 스코틀랜드 연도 : NAS 도수 : 40도 용량 : 200ml(20cl) 타입 : 블렌디드 위스키 오늘 정말 뜬금없이 발렌타인 파이니스트를 선물 받았습니다. 그냥 오다 주웠다 느낌으로 받은거라.. 받은 김에 바로 마셔보고 리뷰를 해보고자 합니다. 싱글몰트를 좋아하는데 어쩌다보니 버번 다음엔 블렌디드를 리뷰하게 되네요. 발렌타인이라는 유명한 제조사의 스탠다드급 블렌디드 위스키 입니다. 우리나라에선 선물용 위스키 3대장으로 시바스 리갈, 조니 워커와 함께 포함되어 있죠 파이니스트에는 아드벡의 원액이 키 몰트로 사용 되서 그 캐릭터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데 아드벡을 아직 마셔보지 못해서 어떤 느낌인지 잘 모르겠네요. 발렌..

취미/술 2022.08.13

Gitlab, Jenkins, Sonarqube, Nexus, Helm 을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성.(아직 작성중인 글)

Gitlab, Jenkins, Sonarqube, Nexus, Helm 을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 구성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 해 보려고 합니다. Gitlab - 애플리케이션 소스, Jenkins 설정 파일, Helm 차트 레포지토리 역할 Jenkins - 빌드, 빌드 및 배포 제어 역할 Sonarqube - 소스 취약점 분석 역할 Nexus - 각종 라이브러리 및 이미지 저장소 Helm - 배포 파이프라인의 마지막 단계로 배포 및 쿠버네티스 차트 관리의 편리성을 위해 도입 만약 실제로 배포할 App이 1개 라면 Gitlab에는 총 1+2개의 프로젝트가 생겨야 합니다. 첫번째 : 실제 배포할 App 소스 코드 프로젝트 (ex : Spring 기반 자바 어플리케이션) 두번째 : Jenkins P..

IT/CICD 2022.08.12

아메리칸 버번 위스키 메이커스 마크 후기

Maker's Mark 이름 : Maker's Mark 산지 : 미국 켄터키주 연도 : NAS 도수 : 45도 용량 : 200ml(20cl) 타입 : 버번(Bourbon) 메이커스 마크는 옥수수를 주 원료로 사용한 대표적인 아메리칸 버번 위스키 중 하나입니다. 흔히 버번 3대장 이라고 하는 리스트에 껴있는 녀석입니다. string[] 버번삼대장 = {"메이커스마크", "버팔로트레이스", "와일드터키"} 그 동안 마셔본 버번 위스키 종류로는 짐빔, 짐빔 블랙, 잭다니엘(정확히는 테네시 위스키), 버팔로트레이스 등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저 중에는 잭다니엘이 가장 좋았고 나머지는 전부 별로였던 기억이 있는데요 버번이 나랑 안맞나? 하는 생각에 이번 메이커스 마크는 기대반 걱정반 하는 마음으로 마셔 보았습니다. ..

취미/술 2022.08.10

[GCP] GCP의 NAS인 Filestore를 이용하여 PV 생성하기.(아직 작성중인 글)

GCP환경의 Kubernetes Engine에서 외부 볼륨으로 gcePersistentDisk(이하 gcePD)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볼륨은 ReadWriteOnce(RWO) 만 지원하고 ReadWriteMany(RWM)를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즉, 여러 노드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다.) 거기에다가 Kubernetes 1.17 버전부터 Deprecated 된 방법이라 새로운 볼륨을 사용하여 PV를 만들어야 하는데 GCP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NAS인 Filestore를 사용 해 보기로 했다. GCP Filestore 메뉴에 들어가서 CREATE INSTANCE를 클릭한다. 각종 설정들을 알맞게 입력하고 NFS 볼륨을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Create 버튼을 클릭하자 위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오며..

IT/GCP 2022.08.09

[Linux] 리눅스에서 유저 생성 후 bash shell에서 사용자@호스트가 보이지 않을 때.

CentOS 7 에서 개발자들을 위한 계정을 생성 하던 중 bash shell이 이상하게 작동하는 모습을 발견했는데 아래와 같다. 계정을 생성 한 뒤 접속을 해보면 bash shell 앞에 계정정보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도 않으며 bash profile도 없는지 디렉토리 색들도 하얗게 나오는것을 확인. 계정을 생성할 때 보였던 Not copying any file from skel directory into it. 문구에 주목했다. 해결법은 간단했다. 기존 skel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파일들을 새로 생성한 유저의 홈디렉토리로 복사 해 오면 되는것!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 확인.

IT/Linux 2022.07.20

[Kubernetes] GKE 클러스터에 GCE-PersistentDisk 생성하고 Pod에 Mount 하기.

Kubernetes 클러스터에서 다수의 Micro Service가 사용할 Disk(Volume)이 필요 한 상황이 생겼다. GCP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NAS 서비스인 Cloud Filestore를 사용 하려 했으나 300GB 정도의 용량만 필요 한 상황에서 Filestore는 HDD 기본 시작용량이 1TB, SSD는 2.5TB에 비용도 꽤나 비싸서 사용을 보류 하였고, 200GB 표준 영구 디스크 기준으로 한달에 $8.00 만 청구된다고 하는 GCE-PD 서비스를 사용 해 보기로 했다. Cloud SDK가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에서 아래 명령어를 실행 시킨다. $ gcloud compute disks create --size=300GB --type=pd-standard --zone={ZONE} {DIS..

IT/Kubernetes 2022.07.13

[Kubernetes] ControlPlane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새로 알게 된 사실

컨트롤 플레인의 구성 요소는 여러 노드에 분산해서 구축이 가능하다.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의 구성 요소 4가지 - API Server - Scheduler - Controller Manager - etcd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든 구성 요소들은 오직 API 서버를 통해서만 통신한다. 라는게 중요한 개념이다. 또한 위 4가지 구성 요소들은 단일 서버가 아닌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서 구축 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노드에 컨트롤 플레인의 구성 요소를 분산시켜 HA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이때 API server와 etcd는 동시에 병렬로 실행 가능 하고, Scheduler와 Controller Manager는 1개만 Active, 나머진 Stand by 형태로 유지된다는 점을 주의 한다.

IT/Kubernetes 2022.06.28